2023학년도 정시에서 가장 큰 이슈는 단연코 이과생의 문과침공이라는 불리는 교차지원입니다. 이에 인문계열 학생이 자연계열로 교차지원이 가능한지에 대한 자료를 찾던 중 얼마 전 내일신문에서 언급된 내용을 바탕으로 정리하고자 합니다.
Q / 수학 잘하는 문과 아이, 자연 계열로 교차지원하면?
고등학교 2학년 딸아이를 둔 엄마입니다. 문과 학생이지만 수학 성적이 전교 10등 안에 들 정도로 좋습니다. 문제는 국어와 사회탐구 점수가 잘 안 나옵니다. 주변에서는 인문 계열 취업도 어려운 마당에 수학을 잘하니 대학원서 쓸 때 교차지원을 해보는 게 어떻겠느냐고 말합니다. 올해 수시원서를 쓴 조카도 학교에서 담임 선생님이 다른 과목에 비해 수학 모의고사 성적이 좋으니 원서하나 정도는 안전하게 교차지원을 해보라고 권했다네요. 문과 학생이 이과로 교차지원해도 괜찮을까요? 교차지원을 허용하는 대학이 얼마나 되는지, 알아둬야 할 부분은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김*정(46·경기 구리시)
A /
교차지원이란 수능 시험 계열과 다른 모집 단위에 지원하는 것을 말합니다. 문과 학생이 자연 계열 학과를, 이과 학생이 인문 계열 학과에 지원할 수 있는 것이죠. 하지만 이과 학생들이 합격선이 높은 인문 계열로 교차지 원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또 대다수 상위권 대학이 이과 학생의 인문 계열 학과 교차지원은 허용하지만, 반대의 경우는 허용하지 않습니다. 자연 계열 학과 지원 자격을 이과 학생들이 보는 미적분과 기하 그리고 과학탐구를 명시해 문과 학생들이 지원할 수 없도록 했습니다. 자연대학이나 공과대학 등 수학, 과학의 비중이 높아 문과 학생들이 공부하기 어려운 학과는 교차지원을 제한하는 것입니다.
다만, 일부 학과에서는 문과 학생 모집 인원을 별도로 선발하기도 하는데요. 건축학과와 간호학과 생활과학대학 등이 대표적이죠. 경희대, 대전대, 동신대, 동의대, 세명대 한의예과 / 대구한의대 / 고신대, 순천향대. 이화여대(정시) 의예과는 인문 계열 학생에게도 개방되어 있으니 한의대와 의대 지원을 희망하는 학생들은 눈여겨보기 바랍니다.
교차지원이 가능한 대학은 상위권 대학보다 중·하위권 대학에 많습니다. 동덕여대, 가톨릭대, 명지대, 상명대, 단국대(천안) ,건국대(글로컬), 세종대 등의 일부 자연 계열 학과에 문과 학생들이 지원할 수 있습니다. 가톨릭대는 컴퓨터정보공학부 정보통신전자공학부 생활과학부 미디어기술컨텐츠학과, 세종대는 국방시스템공학과 항공시스템공학과에 문과 학생들이 지원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이에 인문 계열 중위권 학생들이 수도권에 있는 대학에 가지 못하는 경우 수학 성적이 잘 나오는 학생들을 중심으로 교차지원 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자연 계열 학과로 교차지원은 제한적, 수학 가산점을 따져보신 후 결정하시길 바랍니다.
대학 | 모집단위 | 가산점 |
고려대 | 가정교육, 간호대학, 컴퓨터학 | |
광운대 | 정보융합학부 | 미적분/기하 10% 과학탐구 5% |
덕성대학 | 전 모집단위(약학 제외) | 미적분/기하 10% |
동덕여대 | 전 모집단위(약학 제외) | 미적분/기하 10% |
삼육대 | 전 모집단위(약학 제외) | 미적분/기하 10% |
| 약학 | 미적분/기하 5% 과학탐구 3% |
상명대(서울) | 전 모집단위(에니메이션 제외) | 미적분/기하 10% 과학탐구 5% |
| 에니메이션 | |
서경대 | 전 모집단위 | |
서울대 | 간호대학, 의류학 | |
서울여대 | 디지털미디어학, 정보보호학, 소프트웨어융합학, 수학 | 기하 10% |
| 식품응용시스템학부, 화학생명환경과학부, 원예생명조경학, 자율전공(자연) | 과탐 10% |
성신여대 | 통계학, 서비스디자인공학, 융합보안공학, 컴퓨터공학, 정보시스템공학 | 과탐 상위 한 과목 10% |
세종대 | 디자인이노베이션, 만화에니메이션 | 미적분/기하 5% |
숙명여대 | 통계학, 의류학 | |
숭실대 | 산업정보시스템공학, 건축학건축공학, 실내건축학, 소프트웨어학부, IT융합전공, 정보통계보험수리학, 컴퓨터학, 글로벌미디어학부, AI융합학부, 융합특성자유전공학부 | 미적분/기하 5% 과탐 과목별 각 2.5% |
이화여대 | 간호학부, 미래산업약학 | |
한국외대 | 전 모집단위 | |
한성대 | 전모집단위 | |
하지만 단지 대학 입시만으로 결정하기에는 해당 학생의 적성과 진로도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학생들은 자신의 성적보다 높은 대학에 진학 가능할 때 교차지원을 고려하지만, 먼저 적성에 맞는 학과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문과로 대학 가기 힘드니 이과로 옮겨야겠다는 생각이라면 대학 생활이 무척 어려울 수 있습니다. 자연 계열 학과는 기본적으로 수학과 과학이 기본이 돼야 하는 경우가 많아 과학을 공부하지 않은 문과 학생들이 적응하기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2023학년도 정시에서 가장 큰 이슈는 단연코 이과생의 문과침공이라는 불리는 교차지원입니다. 이에 인문계열 학생이 자연계열로 교차지원이 가능한지에 대한 자료를 찾던 중 얼마 전 내일신문에서 언급된 내용을 바탕으로 정리하고자 합니다.
Q / 수학 잘하는 문과 아이, 자연 계열로 교차지원하면?
고등학교 2학년 딸아이를 둔 엄마입니다. 문과 학생이지만 수학 성적이 전교 10등 안에 들 정도로 좋습니다. 문제는 국어와 사회탐구 점수가 잘 안 나옵니다. 주변에서는 인문 계열 취업도 어려운 마당에 수학을 잘하니 대학원서 쓸 때 교차지원을 해보는 게 어떻겠느냐고 말합니다. 올해 수시원서를 쓴 조카도 학교에서 담임 선생님이 다른 과목에 비해 수학 모의고사 성적이 좋으니 원서하나 정도는 안전하게 교차지원을 해보라고 권했다네요. 문과 학생이 이과로 교차지원해도 괜찮을까요? 교차지원을 허용하는 대학이 얼마나 되는지, 알아둬야 할 부분은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김*정(46·경기 구리시)
A /
교차지원이란 수능 시험 계열과 다른 모집 단위에 지원하는 것을 말합니다. 문과 학생이 자연 계열 학과를, 이과 학생이 인문 계열 학과에 지원할 수 있는 것이죠. 하지만 이과 학생들이 합격선이 높은 인문 계열로 교차지 원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또 대다수 상위권 대학이 이과 학생의 인문 계열 학과 교차지원은 허용하지만, 반대의 경우는 허용하지 않습니다. 자연 계열 학과 지원 자격을 이과 학생들이 보는 미적분과 기하 그리고 과학탐구를 명시해 문과 학생들이 지원할 수 없도록 했습니다. 자연대학이나 공과대학 등 수학, 과학의 비중이 높아 문과 학생들이 공부하기 어려운 학과는 교차지원을 제한하는 것입니다.
다만, 일부 학과에서는 문과 학생 모집 인원을 별도로 선발하기도 하는데요. 건축학과와 간호학과 생활과학대학 등이 대표적이죠. 경희대, 대전대, 동신대, 동의대, 세명대 한의예과 / 대구한의대 / 고신대, 순천향대. 이화여대(정시) 의예과는 인문 계열 학생에게도 개방되어 있으니 한의대와 의대 지원을 희망하는 학생들은 눈여겨보기 바랍니다.
교차지원이 가능한 대학은 상위권 대학보다 중·하위권 대학에 많습니다. 동덕여대, 가톨릭대, 명지대, 상명대, 단국대(천안) ,건국대(글로컬), 세종대 등의 일부 자연 계열 학과에 문과 학생들이 지원할 수 있습니다. 가톨릭대는 컴퓨터정보공학부 정보통신전자공학부 생활과학부 미디어기술컨텐츠학과, 세종대는 국방시스템공학과 항공시스템공학과에 문과 학생들이 지원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이에 인문 계열 중위권 학생들이 수도권에 있는 대학에 가지 못하는 경우 수학 성적이 잘 나오는 학생들을 중심으로 교차지원 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자연 계열 학과로 교차지원은 제한적, 수학 가산점을 따져보신 후 결정하시길 바랍니다.
대학
모집단위
가산점
고려대
가정교육, 간호대학, 컴퓨터학
광운대
정보융합학부
미적분/기하 10%
과학탐구 5%
덕성대학
전 모집단위(약학 제외)
미적분/기하 10%
동덕여대
전 모집단위(약학 제외)
미적분/기하 10%
삼육대
전 모집단위(약학 제외)
미적분/기하 10%
약학
미적분/기하 5%
과학탐구 3%
상명대(서울)
전 모집단위(에니메이션 제외)
미적분/기하 10%
과학탐구 5%
에니메이션
서경대
전 모집단위
서울대
간호대학, 의류학
서울여대
디지털미디어학, 정보보호학, 소프트웨어융합학, 수학
기하 10%
식품응용시스템학부, 화학생명환경과학부,
원예생명조경학, 자율전공(자연)
과탐 10%
성신여대
통계학, 서비스디자인공학, 융합보안공학, 컴퓨터공학, 정보시스템공학
과탐 상위 한 과목 10%
세종대
디자인이노베이션, 만화에니메이션
미적분/기하 5%
숙명여대
통계학, 의류학
숭실대
산업정보시스템공학, 건축학건축공학, 실내건축학, 소프트웨어학부, IT융합전공, 정보통계보험수리학, 컴퓨터학, 글로벌미디어학부, AI융합학부, 융합특성자유전공학부
미적분/기하 5%
과탐 과목별 각 2.5%
이화여대
간호학부, 미래산업약학
한국외대
전 모집단위
한성대
전모집단위
하지만 단지 대학 입시만으로 결정하기에는 해당 학생의 적성과 진로도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학생들은 자신의 성적보다 높은 대학에 진학 가능할 때 교차지원을 고려하지만, 먼저 적성에 맞는 학과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문과로 대학 가기 힘드니 이과로 옮겨야겠다는 생각이라면 대학 생활이 무척 어려울 수 있습니다. 자연 계열 학과는 기본적으로 수학과 과학이 기본이 돼야 하는 경우가 많아 과학을 공부하지 않은 문과 학생들이 적응하기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